본문 바로가기

Text Journal

내일 월요일이다.

노랑고양이 노르망디가 나무 그늘에 얼굴만 가리고 햇빛아래 누워 나를 바라보는 사진

부담된다. 내일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주에는 미국에서 보스와, 보스의 보스가 함께 오기 때문에 묘하게 긴장감이 돈다. 미국인 보스(매니저)는 작년에 한 번 만나봤지만 일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을 때라 서로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았었다. 이번이 두번째 인상이니 조금 기대되면서 긴장도 된다. 보스의 보스인 부서장 정도 되는 분은 이번에 만나면 언제 다시 만날지 잘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게다가 이번에 우리 팀이 약간 덜 중요한 취급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어서 팀원들이 부서에 대해 불만도 있고 아무튼 긴장감이 돌 수 밖에 없는 상태다. 내 영어는... 아 모르겠다.

 

요즈음에는 일이 힘들다기 보다는 사람들 사이에서 눈치 보는 것이 힘들다. 이게 내가 한국인이라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눈 앞에 클리어하게 서열이 보이지는 않는 조직이다. 나이도 상관 없고, 직급도 사실 큰 상관은 없이 전부 colleague라 칭하고, 팀을 관리하는 매니저가 있지만 그렇다고 매니저한테 별 큰 권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나는 이제 막 시작한 뉴비에 어떻게 보면 나홀로 기술직이므로 내가 가진 능력으로 날 고용해준 이 팀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이른바 신입으로써의 열정은 넘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냥 열심히만 할 수는 없는 상황인 것 같은 직감이 든다. 예를들어 조직이 조금 바뀌었으니 내 분야 일을 하면서도, 누군가가 하던 일을 가져와야 하는데, 그걸 넘겨주는 상대방 입장이 좋을 때가 있고 그렇지 않을 때가 있다. 상대가 흔쾌히 넘겨 줄 경우에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약간 껄끄러워 하는 것이 느껴질 때는 도무지 어떻게 얼마나 조심해야 할지 모르겠다. 아무튼 말조심을 해야 하는 때이다.

 

영어로 말조심하기가 요즘 제일 큰 과제다. 한국어로도 잘 못하는데. 내 캐릭터대로 살고 싶다. 근데 내가 평소에 한국어로 표현하던 생각을 외국어로 번안해서 말하려니 진짜 스트레스는 스트레스대로 받고, 그나마도 잘 전달이 안된다. 그리고 진짜 디자이너건 개발자건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제일 중요하다. 그 커뮤니케이션에 해당 언어 구사력도 당연히 포함이 되니 이 핸디캡이 진짜 막막하다. 내가 선택한 길이고, 잘 헤쳐 나가야 하겠지만, 요즘 유난히 무겁다. 겨우 한 달 되었다. 언젠가 익숙해지는 날이 오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