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사람도.
고양이들이 해가 들어오는 부분에 누워서 눈을 감고 따사로움을 만끽하는 모습을 보면 시간이 멈춘 것처럼 느긋하고 행복하다. 우리집은 밝은 편이지만 직사광선이 많이 들어오지는 않아서 이렇게 햇빛 샤워를 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적이다. 그 것을 아는 듯 고양이들은 이 시간대에 반드시 햇빛이 가장 잘 드는 곳에 미리 사료로 배를 채우고 누워서 일광욕을 한다.
이런 관찰을 하고 있다보면 문득 이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찍고 싶거나,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 자랑하고 싶어진다. 하지만 요즘에는 꾹 참으려고 노력한다. 스마트폰 중독이 날로 심해져서 이제는 스크린을 너무 쳐다본 나머지 눈이 아플 지경이기 때문이다. 안그래도 하루종일 컴퓨터를 보면서 일 하는데, 일을 잠시 쉴 때라도 주변을 둘러보며 이런 아름다움을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의 나는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가만히 다른 곳을 보다보면 묘한 죄책감이 든다. 이 것도 일종의 중독 증상 중 하나인 것 같다. 다른 곳을 보는 것이 멍하니 가만히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쉬어야 할 때라서 쉬는 것인데도 그렇다. 계속해서 새로운 정보를 눈으로 훑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다. 궁금했던 단어를 찾아보고, 관심도 없는 뉴스를 읽는다. 하지만 사실은 그 때문에 이 자연의 현상을, 한 번 지나가면 다시는 리와인드 해서 볼 수 없는 것을 지나쳐 버리는 것이 더 안타까운 일이다. 마땅히 그래야 한다. 하늘을 바라보는 노르망디의 눈동자에 비친 하늘. 찻 잔 안에 천천히 소용돌이를 그리며 가라앉는 찻잎. 돌풍에 휘날아다니는 온 동네의 나뭇잎들이 만들어내는 중력과 상식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움직임 같은 것들. 잠시 가만히 있어 보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것들이다.
어제는 책을 좀 읽어보려고 했다. 이 것도 스크린에서 눈을 좀 떼고 있어보려는 노력중에 하나였다. 그런데 읽던 책이 두번째 읽는 것이라서 너무 순식간에 다 끝내버렸다. 결국 전자책을 켜서 새로운 소설을 하나 다운받았다. 그래도 전자책은 발광스크린은 아니어서 눈이 덜 피로하다. 그리고 호흡이 긴 이야기를 읽다보면 스마트폰을 통해 토막난 많은 정보를 볼 때랑은 달리 그래도 머리속이 좀 차분해진다. 그리고 최근에 느꼈는데,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세대 즉 젊은 작가가 쓴 글보다 그렇지 않은 세대가 쓴 글이 더 차분하다. 차분하다고는 했지만 영어 표현중에 down to earth라는 표현을 쓰고 싶었다. 좀 더 현실적인 감각이 있고, 주의를 빼앗기지 않는다. 물론 그런 경향이 세대별로 약간씩 다르게 드러난다는 것일 뿐 정 반대의 경우도 당연히 많이 존재한다. 물론 내가 다독가가 아니어서 이 것은 순전히 내 감상일 뿐이고 전혀 근거는 없다.
아무튼 당분간은 스크린을 보는 대신 멍하니 있는 시간을 늘려보자고 다짐했다. 드럼세탁기안에서 돌아가는 빨래를 보는 편이 스마트폰 발광 스크린을 보는 것보다 내 몸과 뇌에 더 필요한 것이라고 믿으려 노력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