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울리는 글이 너무 많다.
인쇄된 활자는 그 향기가 훨씬 진해서 둔한 나에게도 전기충격과 같은 찌릿함을 선사한다.
정독도서관의 대여 기일은 2주니까
2주만에 다 볼 수 있는 책을 선택하려면 주로 짧고, 일러스트가 많은
에세이나 단편 소설, 동화를 주로 읽을 수밖에 없다.
이번주에는 두권이나 빌렸다.
그 중 한권은 한시간여만에 다 봐버렸다.
일러스트가 잔뜩 들어간 책이다.
지난주에 다 읽은 '정원사와 화가'
그리고 주제 사라마구의 철학동화 '미지의 섬'
둘 다 미친듯이 감동했다.
지금은 세르반테스의 모범소설이라는걸 보고있다.
생각해보니 한참 책 많이읽던 초-중학교 때 이후로는 그다지 책을 많이 보지 못한 까닭에,
유명한 작가의 소설을 통채로 번역해 논 것은 베스트셀러 몇몇 빼고는 거의 본적이 없다.
체호프, 카프카, 세르반테스, 톨스토이, 까뮈 ...
얼마나 멋진 작품들을 썼는지 몰랐다.
이름만 들었을 때는 하나도 재미 없을줄 알았는데 무슨 영화 보는 것처럼 재밌다.
인쇄된 활자는 그 향기가 훨씬 진해서 둔한 나에게도 전기충격과 같은 찌릿함을 선사한다.
정독도서관의 대여 기일은 2주니까
2주만에 다 볼 수 있는 책을 선택하려면 주로 짧고, 일러스트가 많은
에세이나 단편 소설, 동화를 주로 읽을 수밖에 없다.
이번주에는 두권이나 빌렸다.
그 중 한권은 한시간여만에 다 봐버렸다.
일러스트가 잔뜩 들어간 책이다.
지난주에 다 읽은 '정원사와 화가'
그리고 주제 사라마구의 철학동화 '미지의 섬'
둘 다 미친듯이 감동했다.
지금은 세르반테스의 모범소설이라는걸 보고있다.
생각해보니 한참 책 많이읽던 초-중학교 때 이후로는 그다지 책을 많이 보지 못한 까닭에,
유명한 작가의 소설을 통채로 번역해 논 것은 베스트셀러 몇몇 빼고는 거의 본적이 없다.
체호프, 카프카, 세르반테스, 톨스토이, 까뮈 ...
얼마나 멋진 작품들을 썼는지 몰랐다.
이름만 들었을 때는 하나도 재미 없을줄 알았는데 무슨 영화 보는 것처럼 재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