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한낱 공상이라고 했지만,
예전엔 꽤나 엉뚱한 생각과 말을 많이했었다.
보통 "만약...라면..."으로 시작되는 상황에서 특별한 캐릭터가 어떤 행동을 하기도 했다.
아니면 단순히 모든 것의 원인을 내 멋대로 만들어서 그 결과가 웃음거리가 되게 되는 것이 즐거웠다.
때로는 온갖 것에 온갖 것을 대입하기도 했다.
현재는
잘 모르겠다.
작업을 할 때도,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할 때도,
이치에 맞는지 먼저 생각하고, 논리적인지, 다른 사람들도 동의할지를 따진다.
재미있는 상상에 마음 한켠이 촉촉해지는 기분을 느낀지 아주 오래 되었다.
그렇게 된 시기와 내 상황을 힌트로 삼아 원인을 추리해보면
역시 대학에서 '디자인' 교육을 받은 것이 문제일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교육 자체가 문제인지 받아들이는 내가 어리석었는지 잘 모르겠지만,
나는 누구보다 즐겁게 수업을 들었고, 최대한 수업에서 요구하는 모든 것을 만들어 보고 행해 보려고 애썼다.
언제나 백프로 최선을 다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하나도 관심없게 보지 않았다는 데에는 꽤 자신이 생긴다.
사실 교양도 포함에서 대학 수업이 굉장히 다양하고, 과제에 투자해야 할 시간이 너무 많았기에
시키는 것 외에는 딱히 골똘히 머리를 굴리지도 않았고, 지난 3년간 '창작의 고통'은 비교적 적게 겪었다.
물론 디자인 작업이 창작이 아닌 것은 아니었지만, 이치에 맞는 작업을 공감할 수 있게 그려내면 되니까 쉬운 편이었다.
사진을 찍거나, 일러스트를 그리거나, 글을 쓰거나, 영화를 만드는 것과는 차원이 틀리게 쉽고도 또 어려웠다.
나는
상상력보다는 기술을 쓰는 것에 익숙해졌다.
아니 그렇지 않나 추측해본다.
어떻게든 보기 좋은 것을 만들려고 하고, 보기 좋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내가 보기 좋은 것들을 토대로 분석하고 학습한다.
이 것은 기술인거지?
내가 만들 수 있는 보기 좋은 무언가를 통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냐에 대해서는
대부분 컨셉을 잡는 시작과정에서 고민하긴 하지만,
철저히 다른 사람이 듣고 싶은 말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배려라는 차원에서 내 상상력을 쥐어짜내는 것은 포기한다.
짐자무쉬의 영화나,
집에오는 지하철에서 재미있게 읽은 1Q84를 읽으며 문득 깨달았다.
몸의 근육을 적당히 써줘야만 에너지가 넘치고 건강해지듯이
남 설득시키는 머리만 굴리지말고 상상력근육도 좀 써줘야 뻣뻣해지지 않는다.
내가 하고싶은 말이 없으면,
진짜 재미없는 사람이잖아.
예전엔 꽤나 엉뚱한 생각과 말을 많이했었다.
보통 "만약...라면..."으로 시작되는 상황에서 특별한 캐릭터가 어떤 행동을 하기도 했다.
아니면 단순히 모든 것의 원인을 내 멋대로 만들어서 그 결과가 웃음거리가 되게 되는 것이 즐거웠다.
때로는 온갖 것에 온갖 것을 대입하기도 했다.
현재는
잘 모르겠다.
작업을 할 때도,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할 때도,
이치에 맞는지 먼저 생각하고, 논리적인지, 다른 사람들도 동의할지를 따진다.
재미있는 상상에 마음 한켠이 촉촉해지는 기분을 느낀지 아주 오래 되었다.
그렇게 된 시기와 내 상황을 힌트로 삼아 원인을 추리해보면
역시 대학에서 '디자인' 교육을 받은 것이 문제일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교육 자체가 문제인지 받아들이는 내가 어리석었는지 잘 모르겠지만,
나는 누구보다 즐겁게 수업을 들었고, 최대한 수업에서 요구하는 모든 것을 만들어 보고 행해 보려고 애썼다.
언제나 백프로 최선을 다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하나도 관심없게 보지 않았다는 데에는 꽤 자신이 생긴다.
사실 교양도 포함에서 대학 수업이 굉장히 다양하고, 과제에 투자해야 할 시간이 너무 많았기에
시키는 것 외에는 딱히 골똘히 머리를 굴리지도 않았고, 지난 3년간 '창작의 고통'은 비교적 적게 겪었다.
물론 디자인 작업이 창작이 아닌 것은 아니었지만, 이치에 맞는 작업을 공감할 수 있게 그려내면 되니까 쉬운 편이었다.
사진을 찍거나, 일러스트를 그리거나, 글을 쓰거나, 영화를 만드는 것과는 차원이 틀리게 쉽고도 또 어려웠다.
나는
상상력보다는 기술을 쓰는 것에 익숙해졌다.
아니 그렇지 않나 추측해본다.
어떻게든 보기 좋은 것을 만들려고 하고, 보기 좋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내가 보기 좋은 것들을 토대로 분석하고 학습한다.
이 것은 기술인거지?
내가 만들 수 있는 보기 좋은 무언가를 통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냐에 대해서는
대부분 컨셉을 잡는 시작과정에서 고민하긴 하지만,
철저히 다른 사람이 듣고 싶은 말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배려라는 차원에서 내 상상력을 쥐어짜내는 것은 포기한다.
짐자무쉬의 영화나,
집에오는 지하철에서 재미있게 읽은 1Q84를 읽으며 문득 깨달았다.
몸의 근육을 적당히 써줘야만 에너지가 넘치고 건강해지듯이
남 설득시키는 머리만 굴리지말고 상상력근육도 좀 써줘야 뻣뻣해지지 않는다.
내가 하고싶은 말이 없으면,
진짜 재미없는 사람이잖아.